I Dream Of Art For Everyone.

모두를 위한 예술을 꿈꾸다

예술은 삶, 삶은 곧 예술이다 (Art is Life, Life is Art) 
세계적인 팝 아티스트 평화 ,인종 차별 철폐 등의 모든 이를 위한 예술을 꿈꾸었단 키스해링의 작품들 
볼수 있는 키스해링전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사실상 미술에 조예가 없는 사람도 작품을 보면 어디서 본듯한 느낌을 받으실텐데요,
이번 전시회는 키스해링의 작품만 보는 것이 아닌 그의 철학과 가치관 그가 하고 싶었던 예술을 알아볼 수 있어서 더욱 좋은 전시회였던거 같습니다.


[전시회 정보 안내]

전시명 - 키스해링展
전시기간 - 2018.11.24 (토) ~ 2019.03.17 (일) 
전시장소 - 동대문디자인DDP M1 배움터 디자인 전시관
전시 시간 - 오전 10시 ~ 오후 8시 (입장마감 오후 7시)
문화의 날 오전 10시 ~ 오후 9시 (입장마감 오후 8시)   



[전시회 지리 안내]




[전시화 할인 안내]



저 같은 경우 언제나 늘 KT 더블할인으로 최고 50% 할이 받아 전시회를 관람 하였습니다.








유독 추운 날 이였는데, 더구나 DDP 홀에 들어가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바람이 매우 휘몰아칩니다 ㅠ 

동대문 역사문화공원 2호선 1번 출구로 나오시면 바로 노란 티켓 박스가 보입니다!! 





생각보다 줄이 길었지만 금방 금방 빠지는 !! 




전시회 팜플렛과 키스해링의 대표(?) 심볼이 그려져 있는 티켓 입니다. 



같이 주는 도룩 구매시 할인권 입니다.

아트삽에서 도룩을 구매시 삼천원 할인권을 증정해줍니다. 



자 이제 본격적으로 전시회 관람 해봅시다!! 




들어가게 되면 키스해링의 대표 아이콘 자세 (?) 가 보입니다.

사실 입구 부분에서부터 많은 분들이 포토 타임을 가지는데 여기서 줄 서지 마시고

빠르게 앞으로 달려 가세요!! 



그의 싸인 ! 



앞에서 말씀드린대로 그의 작품만 보는 것이 아닌 그의 사상과 가치관을 

알 수 있는 전시회인 만큼 작품도 작품이지만 그가 남긴 어록들을 구경하는 것도 

이번 전시회에 장점 입니다! 



전시회 입구부분에서 줄이 서 있는 이유 중 하나 입니다 (?) 

키스해링의 살아생전의 작품에 대한 생각 및 그림을 그린 계기 등의 이야기하는 다큐멘터리 영상 입니다.

영상에 집중하셔도 되지만 차후 나오는 그의 글귀들을 보셔도 무방합니다.



표출의 시작


키스해링은 뉴욕의 지하철에서 세련되고 노련하며 즉흥적인 그래피티들을 보았다. 그리고 

이 그래피티는 해링에서 작업의 계시가 되었다 그래피티 작가들이 자신을 드러내는 '태그' 또한

그에게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지하철 속 그래피티를 이른바 '발견한' 후 해링은 타인과 소통하고자 하는 자신의 욕구를 깨닫게 되었다. 이후 그는 탄생, 죽음, 사랑, 전쟁과 같이 이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주제를 표출 하기 위해서, 흰색 분필을 사용하여 검은 종지로 덮인 광고판에 아기, 동물, 텔레비전과

사람들을 그려 넣기 시작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세상과 소통 하고자 했다. 

해링은 놀랄만큼 빠른 속도로 그림을 그렸다. 공공 장소에 그린 그래피티로 인해 역무원이나 경철에게 

잡혀갈 수 있기 때문이였다, 해링에게 이 위험성은 작업의 쾌감을 더 키웠다.

하루에 많게는 40여점의 작품을 그릴 정도 였다.

이 지하철 드로잉을 통해 키스해링이라는 이름이 사람들에게 점차 알려지기 시작 했다 .



(무제)

(무제)


키스해링의 작업은 대표적으로 페인팅에서부터 드로잉 조각 퍼포먼스 비디오 벽화 공공예술 등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었지만 우리들에게 그를 각인 시킨 작업은 '지하철 드로잉' 입니다. 


그는 지하철 검은색 종이만 발라진 판 위에 흰색 분필로 그림을 그리는 아이디어를 생각 해냈으며 그렇게

해서 나온 작업이 바로 '지하철 드로잉' 입니다. 이 작업들은 <무제> 시리즈 작업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 대부분의 어른들이 잊고 살아가는 것들은 어린아이들은 알고 있다 " 


보자마자 감탄한 대사 늘 은연중에 알고 있는 의미를 이렇게 문단으로 표현하니 감탄하게 되었습니다.


( 루나, 루나, 시적인 화려한 오락물! 실크린스크린 / 오프셋 ) 



(꽃)



뭔가 어린아이의 시선이서 보이는 꽃들을 그린 느낌 입니다. 




( 세 개의 석판화 ) 

( 세 개의 석판화 ) 

 모든 사람을 위한 스토리 텔링


키스헤링 작품에 영향을 준 팝아트와 그래피티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이 시리즌 아이들을 위하여 제작되었으며 직접 작품을 보며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구성 되었다.

그는 아이들의 순수함에서 많은 영감을 받고 작품을 통해 아이들과 공감 하고자 하였다.



(빨강과 파랑의 이야기)

(빨강과 파랑의 이야기)


이 작품들은 해링이 어린이들을 위해 만든 21개의 석판화이다, 해링은 이 작픔을 만들면서 어린이들이

각각의 판화들을 보면서 자신만의 상살력을 발휘하여 각기 다른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기 원했다.


마지막 작품을 보면 ( 사진 왼쪽 하단에 있지만 아쉽게도 찍지 못했네요 ㅠ) 빨강과 파랑이 합쳐져 

보라색의 계란 모양의 형태가 되는 것으로 끝난다, 해링은 빨강과 파랑의 형태를 먼저 그리고 그 두꺼운 검은 선을 그려 인물의 형상을 만들거나 어떤 물건의 형태들을 만들었다.

그 형태들은 동물에서부터 사람, 자동차 등 매우 다양하다 각각의 판화 프린트들은 각각으로 이야이가 

전개 되지만 그는 20개(표지 1개 제외) 시리즈가 합쳐저서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도 했다. (이 프린트들은 이야기 경연대회에서도 사용 되었다고 한다)

미국의 많은 학교, 어린이 미술관에서는 해링의 이 작품을 교재로 채택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예술적 환각을 통한 초월 


해링은 블랙라이트 아래에서 빛이 나는 형광색 컬러페인트을 사용하고 에너지 넘치는 인물들로 생명과 삶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하였다.


실제 전시회 해당 그림들을 보기 위해서는 어두운 곳으로 들어가 형광 그림들을 관람하였습니다.





( 앞에서 보았을때 ) 

( 뒤에서 보았을때 반전 된 그림에 감탄 하였습니다) 



( 키스 해링 83, 일본 도쿄 와타리 갤러리 )




( 호모 데코란스 - 뎃 데코레렌데 멘스케 루이지아나 )



                                        ( 사기를 깍지 않고 무기를 버리며 나아가자! ) 




                                                                (남아프리카를 해방해라)







( 무장해제 이미지. 핵군축을 위한 미술 )

( 핵군축을 위한 포스티 1982년 )















메세지, 음악을 통한 발언


에이지 예장, 동성애 인권,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인종 차별, 마약, 전쟁, 폭력 및 환경보호와 같은

문제들은 해링의 가장 큰 관심사였다. 그는 포스터를 제작하여 사회 이슈들을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촉구 하고자 했다. 또한 선명한 색상으로 칠해진 그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많은 콘서트, 음악 이벤트 및 자신의 전시회 홍보를 위해 이용 했다. 선명한 행복한 이미지 뒤에는 그의 고집스러운 메세지가 담겨져 있다.


해링은 많은 뮤지션들과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눈길을 사로잡고 논쟁의 여지를 담고 있을분만 아니라 아예 그들의 음ㅇ낙과 떨어질 수 없는 상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는 데이비드 보위의 198년 앨범 <워드아웃 유> 앨범 커버이다. 

포옹하고 있는 두사람이 밝게 빛나는 형태로 그려진 이 간결한 그림은 노래가 전하고자 하는 사랑과 

소통에 대한 메세지를 반영하고 잇다. 그의 삶과 예술에 있어 음악은 매우 중요했다, 그는 예술을 통해 

소리와 메세지를 시각화 한 몇 안되는 예술가 였다.



키스해링의 작품을 통해 그려진 앨범 커버들은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촉구할뿐더러 크나큰 장로의 본인의 메세지를 전달 하고자하는 느낌이 강하였습니다.


" 단 하루만 걸려 있어도 내 노력을 보상 받을수 있을 만큼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그 그림을 볼수 있다 "












'해링코드' , 심볼과 아이콘


그가 만든 상징들은 오늘날 사용되는 이모티콘의 시초와 같다, 그가 만들어낸 상징 중에는 웃는얼굴, 하트, 빛나는 아기, 천사 , 짖는 개, 돌고래를 비롯, 그 외의 여러 그래픽 기호들이 있다.

그의 상징들은 1980년대 (심지어 오늘날 SNS 세대까지 포함하여) 젊은이들의 사랑, 사람, 죽음 대중 문화 및 정치에 관한 주제들을 다루었다.



"옛 사람들이 언어를 만들기 위해서 기호로 선택한 도형들이 내 호기심을 자극 핬다.

[...]

모든 형상에는 기본적인 구조가 있다. 최소한의 선을 사용해서 완전한 대상을 가리키고, 그 선의 조합이 상징적 기호가 된다. 모든 언어, 모든 종족, 모든 시대에서 확인되는 공통점이다. " 









"종말"이라는 디스토피아


해링은 비트 세대의 대표 작가인 월리엄 버로스와의 협업을 통해, 초현실주의 풍경화 속 불길한 주제를 그려낸다. 그의 도발적인 그림은 저잋적 견해를 초월하여 작품을 바라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절망을 느끼게 하지만, 이를 통해 해링의 유머와 풍자 또한 느낄수 있다. '종말'은 해링이 에이즈 진단을 받은 후에 만들어졌다.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 그가 경험하고 상상하는 지옥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다. 













시작의 끝, 그리고 끝의 시작

해링은 그가 초기 작업 했던 자신의 순수한 시각적 묘사를 담은 17개의 초기 작품을 실크스크린으로 제작하여 발표하였다, 키스해링을 떠오르게 하는 심볼 언어의 초창기 형태로 사회의 어두운 면을 그리고 있다.


다소 어두운 전시 공간에 개, 뱀, 인간, URO, 피라미드 석여서 다소 카툰 형식 느낌의 프린팅 작품들이였지먼 성적인 이미지와 잔인한 장면 등의 사회 전반적인 암울한 분위기를 연출하여 관람하면서 보는 사람들로 하기에 침울한 느낌과 작품을 그리는 순간의 키스 해링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알 수 느낄 수 있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 예술가는 다른 이들의 삶에게 감동을 주고 그들의 삶에 살아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나는 죽어도 영원히 죽지 않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살아있을 테니까" 



마지막으로 그의 삶에 대한 메세지를 남기고 전시회는 끝나게 됩니다.







굿즈샵에 부록과 자석(?) 뱃찌 컵 등등 많은 상품들이 있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